반응형

사용자 환경 : macOS Sierra 10.12.65.7.20 MySQL Community Server (GPL)






테이블의 이름을 바꾸는 방법은 간단하다.



mysql> alter table OLD_NAME rename to NEW_NAME;



OLD_NAME이 기존 테이블명이고, NEW_NAME이 변경할 테이블명이다.






반응형
반응형

사용자 환경 : macOS Sierra 10.12.65.7.20 MySQL Community Server (GPL)






안드로이드로 MySQL에 관한 개발을 하던 도중 다음과 같은 에러가 발생했다.



mysqli_connect(): (HY000/2002): No such file or directory in (중략)



열심히 구글링을 했었고, 여러 해결 방법이 나와 있었다. 기본적으로 서버가 안켜져있는 경우에 발생한다고 한다.



하지만, 서버는 너무나 잘 켜져있었다. 맥북을 한 번 밀고 다시 개발환경 세팅한 거라 환경 설정이 다 안되었다고 판단하고 예전 기억을 떠올렸다.



분명 소켓에 관한 설정을 했던 것 같아 다시 구글링을 해서 해결 했다. 해결 방법은 다음과 같다.





우선 터미널을 열고 폴더 하나를 만든다.

$> sudo mkdir /var/mysql




다음, 소켓에 대한 심볼릭 링크를 지정한다.

$> sudo ln -s /tmp/mysql.sock /var/mysql/mysql.sock




다시 앱을 실행한 결과, 에러가 사라졌다.





또 하나 임시 해결 방안이 있다.



php 파일에서 다음 localhost를 127.0.0.1로 변경하면 소켓 설정 없이 해결할 수 있었다.


$conn=mysqli_connect('localhost', 'root', 'PASSWORD', 'DATABASE');





반응형
반응형

사용자 환경 : macOS Sierra 10.12.6






PHP로 MySQL에 접근하는 예제를 여러 개 봤었다면 mysql과 mysqli를 봤었을 것이다.



본인도 처음 봤을 때 둘의 차이점에 대해 궁금증을 가지게 되었는데 생각보다 단순했다.



mysqli 키워드는 php5 버전 이후부터 지원되며 기존의 mysql 키워드보다 보안, 속도면에서 향상되었다.



또 하나, 작은 차이점은 mysql_query()와 mysqli_query()의 파라미터 값 순서가 다르다는 것이다.



1.mysql

<?php
	$connect=mysql_connect('localhost', 'root', 'PASSWORD');
	$db=mysql_select_db("DB_NAME", $connect);
?>





2. mysqli

<?php
	$conn=mysqli_connect('localhost', 'root', 'PASSWORD', 'DB_NAME');
?>





이와 같은 차이가 있다.



mysqli이 보안과 속도가 더 좋다고 하니 이를 사용하는 것이 좋겠다.

반응형

'Develop - > PHP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Solution] PHP 전달된 파라미터 값 확인하기  (1) 2018.08.15
반응형

사용자 환경 : macOS Sierra 10.12.65.7.20 MySQL Community Server (GPL)






MySQL을 사용하다보면 한글을 입력하고 싶을 때가 있으나 기본적인 설정으로는 한글이 깨져 보인다.



이 문제를 해결해보고자 하며 여기에는 여러 방법이 있으나 그 중 일부만을 설명한다.





1. 데이터베이스 생성 시 설정

mysql> create database DB_NAME default character set utf8 collate utf8_general_ci;

DB_NAME은 데이터베이스명을 뜻한다.





2. 기존 생성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의 설정

mysql> alter database DB_NAME default character set utf8 collate utf8_general_ci;





3. 테이블 생성 시 설정

mysql> create table TABLE_NAME (
    -> id int(4) primary key,
    -> ...
    -> ) default character set utf8 collate utf8_general_ci;

TABLE_NAME 역시 테이블명을 뜻한다.





4. 기존 생성되어 있는 테이블의 설정

mysql> alter table TABLE_NAME default character set utf8 collate utf8_general_ci;


반응형
반응형

사용자 환경 : macOS Sierra 10.12.65.7.20 MySQL Community Server (GPL)






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다보면 테이블 이름을 잘 못 만들었거나, 엉뚱한 데이터베이스에 만드는 경우가 가끔 생긴다.



본인은 쿼리문을 잘 몰랐을 때 이런 상황에서 다시 만들었던 기억이 있다... ):



이와 같은 실수를 하는 사람이 없길 바라며 이번 글을 포스팅하게 되었다.





1. 테이블 이름 변경 및 이동

mysql> alter table 변경전테이블이름 rename 변경할테이블이름;

이와 같은 쿼리문을 이용하여 이동 또한 가능하다.



예를 들어 A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test라는 테이블을 B 데이터베이스로 이동시키고 싶다면 다음과 같이 작성할 수 있다.

mysql> alter table A.test rename B.test;





2. 테이블 복사

mysql> create table 생성될테이블 like 기존테이블;

다른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테이블 또한 복사가 가능하다.



예를 들어 A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test 테이블을 C 데이터베이스에 복사하려고 한다면 다음과 같이 작성할 수 있다.

mysql> create tabke C.test like A.test;


insert 구문을 이용한 방법도 있다.

mysql> insert into 입력할테이블 select * from 복사될테이블;


마찬가지로 A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test 테이블을 C 데이터베이스에 복사하려고 한다면 다음과 같이 작성할 수 있다.

mysql> insert into C.test select * from A.test;






반응형

+ Recent posts